웹 프론트엔드

자바스크립트4 - 표준 내장 객체

토리쟁이 2024. 1. 12. 04:00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내장 객체와 함수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내 객체란 무엇일까?

브라우저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내장된 객체를 말한다.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들이다.

앞서 배운 String, Number, Array 등.. 모두 자바스크립트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표준 객체에 속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서 다루어본 것들을 제외한 Date 나 Math 객체에 대해 알아볼 것이고, 그 외의 것들은 mdn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

 

표준 내장 객체 - JavaScript | MDN

이 장은 JavaScript의 모든 표준 내장 객체와 그 메서드 및 속성을 나열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Date

  • Javascript에서 매 순간 바뀌는 시간과 날짜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
  • 원하는 값으로 초기화 가능
  • Date.now()
  • Date.prototype getter 메소드
  • var date = new Date();
    • date.getFullYear(): 년 반환
    • date.getMonth(): 월 반환 0~11 (0: 12월)
    • date.getDate(): 일 반환
    • date.getDay(): 요일 반환 0~6 (0: 월 ~ 6: 토)
    • date.getTime(): 시간 반환
    • date.getHours(): 시 반환 0~23
    • date.getMinutes(): 분 반환
    • date.getSeconds(): 초 반환
    • date.getMilliseconds(): 밀리초 반환 0~999

 

/* Date 객체 */
// 현재 시간, 날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
// 원하는 값으로 초기화 가능
let now = new Date(); // 현재 날짜와 시각
console.log(now);

// new Date('날짜 문자열')
console.log(new Date('September 30, 2000 13:00:00'));
console.log(new Date('2002,3,2'));

console.log(now.getFullYear(),'년');
console.log(now.getMonth(),'월'); // 월: 0~11 (0이 12월임)
console.log(now.getDate(),'일'); // 며칠?
console.log(now.getHours(),'시'); // 시간(0~23)?
console.log(now.getMinutes(),'분'); // 분(0~59)
console.log(now.getSeconds(),'초'); // 초(0~59)
console.log(now.getMilliseconds(),'밀리초'); // 밀리초(0~999)
console.log(now.getDay(),'요일'); // 일:0, 월:1 ~ 토:6

 

 

 

 

 

Math

  • PI: 3.141592..
  • E: 자연로그 e 2.7...
  • SQRT숫자 : 루트 계산
  • min(): 최소값 반환
  • max(): 최대값 반환
  • ceil(): 소수점을 올려서 정수로 반환
  • floor(): 소수점을 내려서 정수로 반환
  • round(): 반올림한 결과를 반환
  • random(): 0~1까지의 랜덤한 수를 반환
/*Math */
console.log(Math.PI); //파이
console.log(Math.E); // 자연로그 e
console.log(Math.SQRT2); // 루트2

//메소드
console.log(Math.min(1,2,3,4,5,6,7,8,9, -7.5)); // 최소값을 반환하는 함수
console.log(Math.max(1,2,3,4,5,6,7,8,9, -7.5)); // 최대값을 반환하는 함수
console.log(Math.ceil(5.1)); //6 올려서 정수로 만들어주는 함수
console.log(Math.floor(5.655)); // 5 내려서 정수로 만들어주는 함수(가우스 함수)
console.log(Math.floor(-5.155)); // -6 
console.log(Math.round(5.4)); // 반올림

//0<= x <1
console.log(Math.random()); // 0~1 랜덤수

//0<= x <3
console.log(Math.floor(Math.random()*3)); // 자연수의 랜덤수로 만들어주기 위해 반내림

// 1<=x<=45
console.log(Math.floor(Math.random()*45)+1);

 

 

 

Object

// object 관련 객체
const areaNum = {
    Seoul:'02',
    Incheon:'032',
    Busan:'051',
    Ulsan:'052',
    Gwangju:'062',
    Jeju:'064'
}


// 각각 key와 value를 뽑아서 배열로 반환하는 객체의 메소드
const area = Object.keys(areaNum);
const number10 = Object.values(areaNum);

console.log(area); // ['Seoul', 'Incheon', 'Busan', 'Ulsan', 'Gwangju', 'Jeju']
console.log(number10); // ['02', '032', '051', '052', '062', '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