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네트워크 기기

토리쟁이 2023. 11. 25. 23:24

각 계층의 네트워크 기기들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다.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ex) L7 스위치(애플리케이션 계층 기기) → 그 밑의 모든 계층의 프로토콜 처리 가능

AP(물리 계층 기기) → 물리 계층만 처리 가능

 

계층별 네트워크 기기는 아래와 같다.

  • 애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 인터넷 계층: 라우터, L3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 L2 스위치, 브리지
  • 물리 계층: NIC(랜카드), 리피터, AP

 

L7 스위치(= 로드밸런서)

  •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함
  •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허브의 단점 보완)
  •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
  •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를 목표로 함
  • URL, 서버, 캐시, 쿠키들을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
  • 바이러스, 불필요한 외부 데이터 등을 걸러내는 필터링 기능 보유
  • 트래픽 모니터링 가능

 

L4 스위치(= 로드밸런서)

  • 전송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메시지를 기반으로 인식하지 못함
  • IP와 포트(특히, 포트-)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함

 

헬스 체크

  • L4 스위치 or L7 스위치 모두 헬스 체크를 통해 정상적인 서버/ 비정상적인 서버를 판별함
  • 전송 주기와 재전송 횟수 등을 설정한 이후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것

 

서버 이중화

  • 로드밸런서의 대표적인 기능
  •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능
  • 2대 이상의 서버를 기반으로 가상 IP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함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라우터, L3 스위치

 

라우터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시켜주는 역할
  •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패킷 소모를 최소화하고 경로를 최적화하여 최소 경로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라우팅 장비

 

L3 스위치

  • L2 스위치의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갖춘 장비
  • 하드웨어 기반의 라우팅 담당
구분 L2 스위치 L3 스위치
참조 테이블 MAC 주소 테이블 라우팅 테이블
참조 PDU 이더넷 프레임 IP 패킷
참조 주소 MAC 주소 IP 주소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L2 스위치, 브리지

 

L2 스위치

  • 장치들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관리
  • 패킷 전송 담당
  • 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 불가능
  • 목적지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을 경우 → 전체 포트에 전달
  • MAC 주소 테이블의 주소는 일정 시간 이후 삭제하는 기능도 O

 

브리지

  • 2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
  • 포트와 포트 사이의 다리 역할
  •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로 관리함
  • 통신망 범위를 확장하고 서로 다른 LAN 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신망을 구축할 때 사용됨

 


물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NIC, 리피터, AP

 

NIC(= LAN 카드)

  • 2대 이상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사용
  •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
  • 각 LAN 카드에는 고유의 식별번호인 MAC 주소가 있음

 

리피터

리피터

  • 약해진 신호 정도를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장치
  • 패킷을 더 멀리 보낼 수 O
  • 광케이블이 보급됨에 따라 현재는 잘 쓰이지 X

 

 

AP

  •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
  • AP에 유선 LAN을 연결한 후, 다른 장치에서 무선 LAN 기술(와이파이 등)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할 수 O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의 기초  (0) 2023.11.25
프로그래밍 언어  (0) 202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