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umerate()
- 인자로 순서가 있는 자료형(list, set, tuple, dictionary, string..)을 넘겨 받았을 때, 해당 자료형의 인덱스와 원소를 차례대로 접근해주는 반복자 객체를 반환해주는 함수
- 인덱스와 값을 동시에 접근하고 싶을 때 사용
- 주로 for문에서 자주 사용
- enumerate의 인자로는 순서가 있는 자료형과 인덱스의 시작 값을 나타내는 start를 넘겨 받는데, start를 지정해주지 않을 경우엔, 디폴트값인 0이 들어감
위의 사진은, 전형적인 enumerate 함수의 사용 예시이다.
이 enumerate 함수는 다음과 같이 deque를 인자로 받기도 한다.
임시 리스트를 생성 후, deque로 변환해 준 후 , enumerate의 인자로 넘겼다.
여기에서는, start = 1로 지정했기 때문에 인덱스의 첫 시작 값이 1임을 알 수 있다.
임시 리스트를 enumerate한 결과를 deque로 만들면, deque를 pop/popleft()할 때마다 인덱스와 원소를 동시에 반환한다.
참고
https://www.daleseo.com/python-enumerate/
'파이썬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heapq (0) | 2024.03.02 |
---|---|
파이썬 우선순위 큐 (Priority Queues) (1) | 2024.02.29 |
파이썬 리스트 합치기 (2) | 2024.02.24 |
파이썬 내장 모듈 Collections (0) | 2023.11.20 |
파이썬의 소수 연산 - float 타입과 decimal 모듈 (0) | 2022.10.07 |